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06

안전 관련 자격증 취득 후 진로에 대한 고민 전직 또는 노후대비를 위해 기술 자격증을 취득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게다가 요즘은 어떠한 자격증이 좋다는 권유로 다양한 분야의 자격증을 취득하시는 경우도 있습니다.자기계발의 입장이라면 자격증 취득을 위한 공부를 지속하는 것도 좋습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자격증을 취득했다고 해서 전직과 노후준비에 크게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중요한 것은 현장경력이 있어야 합니다.  생각보다 많은 분들은 자격증만 취득하면 바로 현장에 바로 취업이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하지만 현실은 경력자를 더 선호하며, 게다가 50대 이상은 일자리 구하기 쉽지 않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산업안전기사, 건설안전기사 취득 후 진로를 고민하시는 분들에게 도움이 될 내용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안전 관련 자격증은 생각보다 쓰임이 제한적입니다. .. 현장안전관리자의 일상 2024. 11. 6.
자격증 공부방법 - 산업안전기사 건설안전기사 위험물산업기사 지난 주말 올해 마지막 기사시험이 끝났습니다.최종 결과가 나오기까지 약 한 달 정도 기다려야 하지만 가채점으로 대략적인 합격과 불합격을 알고 계실 거라 생각합니다.합불을 떠나서 많은 분들이 각자의 위치에서 열심히 노력하셨고, 설령 좋은 결실을 얻지 못했더라도 포기하지 말고 꼭 자격증을 취득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이전 포스팅에 정리했지만 저의 실제 수험기간은 [하루 2시간, 주 5일, 총 7개월] 입니다. 2024.10.31 - [산업안전보건관련] - 산업안전기사 산업안전산업기사 자격증 - 수험기간, 교재 추천 산업안전기사 산업안전산업기사 자격증 - 수험기간, 교재 추천2021년 중대재해처벌법이 제정되면서 안전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아졌습니다.그렇다 보니 안전과 관련된 자격증 취득을 위한 관련 시험 응시인.. 현장안전관리자의 일상 2024. 11. 5.
산업안전기사 자격증 취득에 필요한 사이트 정리 산업안전기사 공부를 하면서 정보를 찾기 위해 카페 또는 블로그를 자주 찾게 됩니다.그러나 막상 검색으로 방문한 사이트에서 필요한 정보를 찾지 못하고 시간만 낭비한 경우가 많았습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공부기간뿐만 아니라 현업을 하면서도 꾸준히 방문 중인 사이트를 정리했습니다.아래에 링크된 사이트들은 산업안전기사, 산업안전산업기사, 건설안전기사, 건설안전산업기사, 위험물산업기사 수험에 충분히 도움이 되는 사이트들입니다.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https://www.comcbt.com/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전자문제집, CBT, 컴씨비티, 씨비티, 기사, 산업기사, 기능사, 컴활, 컴퓨터활용능력, 1급, 2급, 워드, 정보처리, 전기, 소방, 기계, 사무자동화, 정보.. 현장안전관리자의 일상 2024. 11. 4.
산업안전기사 산업안전산업기사 자격증 - 수험기간, 교재 추천 2021년 중대재해처벌법이 제정되면서 안전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아졌습니다.그렇다 보니 안전과 관련된 자격증 취득을 위한 관련 시험 응시인원이 점점 증가하고 있습니다. 저는 2020년에 처음 산업안전기사 취득을 위한 공부를 시작했고, 2021년에 최종 합격했습니다.   그래서 요즘 안전관련 자격증 취득에 관한 문의가 부쩍 많아졌습니다.특히 불경기인 요즘 많은 분들이 산업안전기사 취득에 관심을 가지고 계십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저의 수험기간과 교재 및 추천 사이트 등을 정리했습니다.  수험기간 산업안전기사 자격증 취득 위한 공부를 2020년 6월에 시작해서 2021년 11월에 최종합격 했습니다.수험 기간은 총 1년 5개월이 소요되었네요. 총 수험기간20년06월~21년 11월비고실제 공부기간필기합격20년.. 현장안전관리자의 일상 2024. 11. 1.
직장생활 이런 경우라면 퇴사를 미루세요. - 퇴사에 대한 조언 직장생활 중 누구나 한 번은 퇴사를 생각하게 됩니다.저도 10년의 직장생활 동안 퇴사를 진지하게 고민한 적이 몇 번은 있었던 기억이 납니다. 저마다 퇴사를 선택하는 이유가 있습니다.물론 퇴사를 선택할 때 자신은 합리적인 판단을 했다고 생각할지도 모릅니다.하지만 갑작스럽거나 준비가 부족한 퇴사는 후회를 하게 될 확률이 높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아래의 경우라면 퇴사를 좀 더 신중하게 선택하기를 권하고 싶습니다.  동료나 업무가 퇴사의 이유라면 좀 더 고민해 보세요.   직장생활 중에 나와 잘 맞는 동료가 주변에 있다면 정말 운이 좋다고 할 수 있습니다.왜냐하면 직장인이라면 대부분 인간관계로 인한 스트레스로 고민이 많기 때문입니다.직장인 커뮤니티에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직장 내 인간관계에 대한 고민으로 퇴사를.. 직장생활 2024. 10. 31.